'단독주택'에 해당되는 글 5건 |
||
천안 유량동 주택 :: 2006. 6. 30. 10:53건물개요
![]() 회사정보
![]() 상세정보
![]() 설명 & 평 천안향교를 지나 산으로 향하는 언덕길로 들어서면 20여 채의 집들이 낮게 깔려있는 오래된 작은 마을이 나오고, 마을 끝자락에서 숲으로 이어지는 경사지에 있는 대지이다. 동남향의 경사지로 대지 동쪽을 따라 맑은 물이 흐르는 작은 개울 너머로 편안한 모습의 언덕능선이 가깝게 보인다. 서쪽으로도 낮은 구릉이 지키고 있어 언덕 아래 풍경이 몇 채의 마을 집 지붕 너머로 기분 좋게 펼쳐져 보인다. 주변의 마을 집들이 모두 단층이고, 집 옆의 텃밭이 경사지 곳곳에 있어 언덕과 편하게 어울리는, 낡고 오래되었지만 평화로운 풍경의 마을이다. 새로 지어지는 집도 그렇게 자연과 함께 하며, 대지의 경사를 거스르지 않고, 마을 분위기에 어울리게 지어지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 대지로 들어설 수 있는 도로는 대지보다 높게 나 있어, 경사지를 내려가며 집으로 들어간다. 1층 높이로 짓지만, 건물 앞뒤의 경사를 살려 아래층도 언덕 아래로 시원하게 열어놓을 수 있었다. 부정형의 대지이고, 대문에서 집까지 2.5m 정도의 높이 차이로 자연스럽게 뒤 마당이 만들어졌다. 길에서 집 쪽을 내려다보게 되니 외부의 시선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 나무도 심고 텃밭도 가꿀 수 있는 마당이 되었고 그 사이를 휘어져 내려와 현관으로 들어서는 기분 좋은 계단도 만들 수 있었다. 건축주는 부부 모두 교수이며, 아들이 하나 있다. 가족 모두 집안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 어느 집보다 집에 오래 머물고 있으니, 거실과 각각의 방의 거주성을 높일 필요가 있어 모든 방들을 정남향의 언덕 아래를 향하도록 하였다. 같은 방향을 본다는 것은 선택하고 싶지 않은 대안이었지만, 집 양쪽의 언덕이 가깝게 있으니 집 곳곳에서 느껴지는 밖을 보는 풍경은 서로 많이 다를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 집은 경사지형을 따라 놓여진 기다란 직방형의 형태이다. 건물 중앙에 위, 아래층으로 열린 중정이 건물에 끼워져 있다. 중정은 위 아래층을 이어주며 집의 좌우 영역의 성격을 구분해 주는 역할을 한다. 현관으로 들어서며 처음 만나는 것이 중정이다.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계단 상부 벽에 난 작은 창으로 외부의 풍경을 절제하여 보여준다. 오른 쪽으로 걸음을 옮기며 탁 트인 거실의 시야를 대비적으로 강조하고 싶었고, 뒤 마당을 거치며 느껴지는 전원의 열려진 공간의 느낌을 집안을 들어서며 조금 감싸 안아 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거실은 식당 공간과 완전히 통합되어 하나의 공간이고, 부엌도 한쪽 벽에 붙어 있다. 다만 거실 중앙 상부에 천창을 만들어 은연중에 다른 성격의 장소임을 깨달을 수 있도록 만들어 소파를 놓기 적절한 장소로 만들었다. 집 북쪽으로 길게 복도가 나 있고 복도 양쪽 끝의 시선을 외부로 시원하게 열어 놓았다. 복도 한쪽은 모두 깊은 책꽂이고 수납장으로 되어 있다. 그 일부를 창으로 만들고 또 화장실로 들어 설 수 있는 개구부로 만들었다. 진입도로에서 실내가 너무 많이 들여다보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고, 책꽂이로 창 깊이도 깊게 느껴진다. 많은 책들, 보기 좋은 수집품들, 작은 화분이 놓여질 것이다. 건물 전체 길이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조금씩 걸어가면서 왼쪽 오른쪽으로 조금씩 달라지는 풍경과 서로 다른 빛의 느낌으로 많은 이야기가 담겨지는 장소가 될 것이다. 중정에 가깝게 아들 방이 있고 끝으로는 주인의 서재가 들어간다. 복도 끝을 나가 오른쪽으로 돌아서면 수납장이 길게 벽면을 채우고 집 앞에 길게 난 발코니를 따라가면 중정을 감싸는 브리지를 건너 거실과 식당 앞 작은 마당, 옥외식당으로도 사용되게 될 데크가 나오고 다시 거실이나 식당의 창으로 다시 집안에 들어와 복도로 연속되는 순환동선을 만들었다. 한 바퀴의 동선은 이 집에서 느낄 수 있는 거의 모든 종류의 경험이 연이어 붙어 있는 오솔길과 같은 느낌을 만들고 싶었다. 또 부엌 밖에 여러 외부 작업을 하기 좋은 작은 마당을 만들어 앞마당과 뒷마당의 동선을 연결하였다. 거실에서 직접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서면 주인침실이다. 옷방과 세면대, 욕실이 따로 만들어져 있다. 주인 침실이 지하에 위치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집 뒤에 있는 사찰의 종소리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적당한 장소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중정 건너편은 부인의 서재이다. 중정을 거쳐 집 앞마당으로 직접 나갈 수 있다. 처음의 계획은 위 아래층을 따로 계단형으로 배치하고 중정은 위 아래층을 입체적으로 연속시켜 줄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공간이었으나 예산상의 이유로 콤팩트하게 위아래 층이 쌓여있는 구조로 정리되고 중정의 역할이 축소되었다. 하나의 긴 덩어리가 경사지 위에 살짝 올려진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남쪽의 외관을 커다란 'ㄷ'자 모습으로 보이도록 넉넉한 캐노피 지붕과 발코니를 정리하였다. 주변 마을 집들에 비하여 너무 높은 건물이 들어선 느낌이 들지 않는 단아한 집을 만들고 싶었다. ![]() 부인이 심고 싶어 했던 하얀 배꽃이 피는 나무는 뒷마당에 심고, 앞마당 식당 앞으로 큼직하게 보기 좋은 나무가 자라게 만들고 싶다. 지금은 넉넉한 마당에 어디선가 날라 온 들풀들이 작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있고, 그 속에서 건축주는 마당일로 바쁠 것이다. ![]() 도면 ![]() ![]() ![]() ![]() '建築人生 > 건축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화산리 K 주택(Hwasan-ri K Residence) :: 2006. 3. 4. 00:24건물개요
![]() 상세정보
![]() 설명 & 평 중첩된 역사 축에 설정된 집 이야기 ![]() 집의 역사성과 시공간 ![]() 사랑채와 안채의 재해석작업 ![]() 중첩된 외부공간과 건물형태 ![]() 목조주택의 작업 ![]() 도면 ![]() ![]() ![]() ![]() ![]() ![]() '建築人生 > 건축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동검리 주택 :: 2006. 3. 2. 14:33건물개요
![]() 회사정보
![]() 상세정보
![]() 설명 & 평 동검리 주택Ⅰ- '멀리 바다를 그리다'
![]()
![]()
![]()
![]() 도면 ![]() ![]() ![]() ![]() ![]() * 글 : 이일우(건축공방 무) '建築人生 > 건축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Tanhyeon House :: 2006. 2. 27. 22:07건물개요
![]() 회사정보
![]() 상세정보
![]() 설명 & 평 헤이리 근처 전형적인 농촌마을 축현리에 위치한 농가주택이다. 비탈진 산등성이 남북으로 길게 늘여진 젖소목장 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주택은 주요입면이 남쪽의 목장을 올려다보는 배치이다. 주요 구조재는 콘크리트와 중량원목이며, 지붕은 철판을 기와형태로 가공하여 시공하였다. 기본적으로는 박공형태이나 가족실의 오픈된 상부는 옥상 공간 활용을 위해 평슬래브로 하였다. 1층은 방문객이 많은 건축주를 위해 거실공간으로 대부분을 할애했으며, 전면을 모두 창호로 설치해 한눈에 목장 상황을 살필 수 있게 하였다. ![]() 탄현면 애기나리터 ![]() 도면 ![]() * 글 : 원희연(녹건축연구소) [출처 :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AURIC)] '建築人生 > 건축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A-House :: 2006. 2. 27. 10:37건물개요
![]() 회사정보
![]() 상세정보
![]() 설명 & 평 For in the flux of life, where all our concepts are elastic, we couldn"t reconcile ourselves to a rigid concept. - Ludwig Wittgenstein 건물은 향과 대지 내에서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무중심적인 배치, 병렬적인 배치를 위해서 동서로 길게 배치되어 남향으로 열려있다. 이런 장축의 배치는 현관까지의 자연스런 전이공간의 가능성을 마련해주며, 일반주거에서 경험하기힘든 깊이를 마련해 준다. 공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1층에서 모든 공간은 끊임없이 이어져있으며, 흐름은 반대쪽 원형계단까지이어진다. 그러나 이 동선축은 기능상, 공간상의 이유로 직교적으로 미끄러진다. 이런 미끄러짐과 레벨차이, 그리고 의도적인 ‘끊음’을 통해서 각각의 공간들은 자신의 고유함을 갖게되며, 이 고유함은 각각의 유닛에 부여된 외부 공간과의 관계에 의해서 완성된다. ![]() 2층에서도 모든 문은 미닫이문을 이용해 평상시에는 항상 열려 있으며, 필요시에는 공간적인 구분이 가능하다. 미끄러짐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단절된 각각의 공간들은 다시 시각적인 연결로 다른공간과, 또한 외부와 연결되어있다. 초기단계부터 클라이언트가 아닌 건축의 동지로서 작업한 건축주께 감사를 드린다. 그가 가지고 있던 중요한 생각들이 아니었다면 자칫 선언문으로 끝나버렸을 주거가, 사람의 얼굴을 갖게 되었다. 도면 ![]() ![]() '建築人生 > 건축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