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의 기술'에 해당되는 글 1건 |
||
일류가 되기 위한 35가지 메모 기술 :: 2006. 2. 27. 10:26
① 잊지 않기 위해 메모하기 보다 잊기 위해 메모한다. ② 순간 떠오르는 느낌과 발상을 기억하기 위해 자기지시를 내린다. ③ 일상생활과 업무의 진행을 도와준다. ④ 기타 실적을 높이기 위해/일 처리의 효율성 제고/능력향상/새로운 일의 기획을 위해/비망록사용을 위해 ① 언제 어디서든지 메모한다. ② 수첩에 자신이 좋아하는 사진을 붙여두고 수시로 들여다 본다. ③ 잘 쓰려고 하지 마라. 메모는 자신을 위한 것이다. ① 처리해야 할 일, 기억해야 할 일 식으로 리스트를 작성 ② 중요도,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를 정한 후 끝나면 리스트를 하나씩 지우며 확인 ③ 일이 끝난 후의 성취감을 만족한다. ④ 메모한 내용은 나중에 다시 읽어보고 활용 ① 일할 때(책상에서) - 책상 오른쪽에 메모지와 연필 비치 ② 외근시 - 주머니에 펜과 메모지 ③ 걸을 때 - 소형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녹음기, 작은 수첩 항상 휴대 ④ 차 안 - 휴대용 녹음기에 테입 넣어서 ⑤ 이동중 - 걸을 때는 휴대용 녹음기, 휴대전화 녹음기능 ⑥ 약속시 - 가방, 재킷, 바지에 메모지 넣는다. ⑦ 집에서 쉴 때 - 메모지 비치(TV,Radio청취,화장실,침대옆 등) ① 메모에 필요한 도구준비 ② 디지털보다 아날로그 방식 메모도구 준비 ③ 수첩크기 통일, 일련번호 관리 ④ 메모하는 기술보다 시간과 장소 등 환경을 먼저 조성 ⑤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이나 책상 마련 ① 메모도구를 선택할 때는 편리함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취향에 맞는 것을 사용 ②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았다면. 거기에 자신을 맞추며 가능한 한 바꾸지 말아야 ③ 마음에 드는 수첩은 넉넉하게 준비하고, 1년에 한두 번은 자료의 백업 실시 ① 모든 메모는 일단 적은 후에 정리 ② 수첩은 여러 권을 사용하지 않는다. ③ 스프링 노트를 사용하여 핵심부분만 남긴다. ④ 손이 닿는 곳에 메모판을 걸어두고 생각나는 대로 적는다. ① 목욕, 산책, 수면전 등 어디에서든지 ② 늘 지니는 것, 자주 보이는 곳에 메모 ① 일을 잘 하는 사람을 관찰, 따른다. ② 일 잘하는 사람과 자신과의 관찰표를 만든다. ③ 회의 내용이 지루하면 다른 사람을 관찰한다. 會(회의), 企(기획회의), 報(보고서), M(업무 미팅), ⓜ(사적미팅), T(전화), F(팩스), Add(주소), ㅎ(회식), ㅊ(청구서), 出(출장), ㉥(비밀), ☆(중요사항), 休(휴일), @(메일), ㉦(생일), *(반드시 체크해야 할 일), !(아이디어) ① 중요한 사항에는 밑줄을 긋는다. ② 좀 더 중요한 사항은 동그라미를 표시 ③ 삼색볼펜을 사용해 내용과 중요도를 표시 ④ 중요한 내용은 별도로 요약 ① 메모만을 목적으로 하는 시간 갖기 ② 일부러 커피숍을 찾아 생각을 정리해 주는 여행을 떠난다. ③ 하루에 한 번이라도 수첩과 펜을 든다. ① 메모는 어떤 형태로든 남겨둔다. ② 메모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만든다. ③ 메모와 자료를 주제별로 문서 보관상자에 넣어 데이터 베이스화 한다. ① 예전의 메모를 다시 읽어보는 습관을 기른다. ② 메모한 것들은 날짜별 혹은 주제별로 정리한다. ③ 정리된 메모를 문서 보관상자에 보관 ④ 다시 읽을 때 느낀 점이나 아이디어를 다른 색으로 메모 ① 자신의 기분이나 심적상태를 적는다. ② 처리할 일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③ 일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④ 스케쥴이 변경될 때를 대비하여 계획 수립 ① 커다란 대학노트를 준비하여 참가자별로 페이지를 둔다. ② 각자 발표한 의견과 반론을 발언자 난에 순서대로 메모 ③ 나중에 다시 읽으며 중요한 발언에 표시 ① 말한 사람은 알파벳으로 표시 ② 이야기한 내용은 모두 적지 말고 중요한 단어만 표기 ③ 그림으로 그려도 좋다. ① 세미나 핵심내용 파악 ② 목적과 성과 알 수 있도록 작성 ③ 별도 수첩에 기록하지 말고 주최측 배포자료에 직접 메모 ④ 수첩작성시 미리 목적과 성과 고려한 메모 ⑤ 핵심만 기록한 보고서는 핵심만을 요약, 정리한 메모에서 시작 ① 메모가 부담되면 머릿속 생각 먼저 정리 ② 녹음은 편하게 말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 ③ 녹음후 제목 붙이기 ④ 녹음후 한번 다시 듣기 ⑤ 듣고 정리하면서 문장 쓰는 능력 배양 ① 지시한 내용은 그대로 받아 적음 ② 일을 진행하면서 의문사항이나 아이디어도 함께 기록 ③ 말이 자주 바뀌는 상사를 대할 때는 상사가 지시하면 바로 그 앞에서 받아 적음 ① 부하직원의 행동유형이나 성격 등 기본사항을 파악 ② 부하직원에게 명령할 때는 때때로 구체적으로 지시 ③ 한꺼번에 대여섯 가지 명령을 내려 메모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조성 ① 무슨 내용을 어떤 식으로 전달하고 싶은지 항목별로 메모 ② 상대방에게 반드시 전해야 할 사항을 빠짐없이 작성 - 납품일자, 일정조정내용, 납품기일 어김에 따른 사과 내용 등 ③ 다 쓴 후에는 소리내어 읽어보기 ④ 훌륭한 문장을 만들려고 애쓰지 마라 ① 전화를 걸기 전에 전달할 내용을 메모해 보면 자신의 의사를 더욱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다. ② 바쁜 와중에 전화를 받았을 때는 상대방의 말을 빠짐없이 메모해 둔다. ③ 전화통화를 할 때 숫자와 고유명사는 반드시 기록한다. ④ 메모지는 큰 종이를 준비하고 나중에 따로 요점만 정리한다. ① 일정한 크기로 복사하여 파일에 철하거나 붙여서 책으로 만든다. ② 복사하여 정리할 때에는 기사의 여백에 느낀 점을 간단하게 메모한다. ③ 일정한 크기로 복사해서 철해 둘 시간마저 없다면, 우선 파일상자에 넣어두고 나중에 다시 읽어보면서 정리한다. ① 일반적으로 메모를 자주하지 않는 사람은 글씨체가 예쁘지 않아 읽기에 불편하다. ② 나중에 다시 읽을 때 무슨 내용인지만 알아 볼 수 있으면 되므로 너무 잘 쓰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③ 제목은 제일 위에 큼직하게 쓴다. 누가 무엇에 대해 어떤 말을 했는지 알 수 있도록 쓴다 . ④ 주제별로 페이지를 구분한다. 한 가지 주제가 끝나면 페이지를 바꾸어 기록한다. ⑤ 글씨는 읽기 좋은 글씨로 쓴다. 글씨가 너무 작으면 나중에 다시 읽을 때 눈이 피로해서 읽을 마음이 사라진다. ⑥ 중요한 부분에서는 빨간색이나 형광펜으로 표시한다. ① 날짜와 시간 ② 상대방의 회사명, 부서명, 이름 ③ 용건은 간결하고 정확하며 알기 쉽게 ④ 전화가 왔다는 사실만 전하면 되는지, 아니면 담당자가 먼저 전화하기를 바라는지, 급한 용무인지를 확인한다. ① 정보가 될만한 사항을 메모한다. ② 주소록이 아니다. 간단한 인적사항 외에 그 사람을 만나게 된 경위나 느낀 점 등을 자세하게 기록한다. ① 사람을 만난 후에는 반드시 간략하게라도 상대방 정보를 기록해 둔다. ② 명함을 교환하면 만난 장소, 날짜, 그 사람의 특징 등을 명함에 메모 ③ 상대방의 개성이나 특징 표현한 단어나 그림을 명함에 그려 넣는다. ④ 명함은 명함지갑에는 물론 수첩과 가방 등에 분산해서 넣고 다닌다. ⑤ 명함이 없을 때에는 인물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카드를 활용한다. ① 차량의 통행이 적은 산책길이나 공원을 걸으면서 생각을 정리한다. ② 문자화할 도구가 없을 때, 쓰기 싫거나 쓰는 일에 자신이 없으면 일단 녹음을 한 후에 문장으로 다듬는다. ③ 비상시에는 휴대전화나 자동응답기를 활용한다. ① 책을 읽을 때에는 메모지를 책갈피로 사용한다. ② 끼워둔 메모지에 작가의 의도, 핵심내용, 감상 등을 적는다. ③ 지저분해져도 상관없다면 책에 직접 쓴다. ① 메모하면서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정리한다. ② 중요한 부분은 눈에 띄는 색상을 사용한다. ① 시간이 나는 틈틈이 낙서하듯 메모한다. ② 정리되지 않은 말이 떠오를 때마다 하나씩 메모한다. ③ 추억이나 좋아하는 시를 기분 내키는 대로 메모한다. ④ 혼잣말이나 상상한 내용들을 메모한다. ① 시공간을 가리지 않고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메모 ② 회의나 협상중에도 아이디어가 생각나면 TPO의 요령에 따라 메모 ③ 주위사람들에게 들은 기억할 만한 말과 그때의 느낌을 메모한다. ① 커다란 종이에 화나는 이유나 스트레스의 원인을 나열해 본다. ② 쇼핑백에 큰 글씨로 ‘바보’라고 쓰고, 그것을 양손으로 찢는다. ③ 사직서를 쓰고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작성해 본다. ① 일기는 메모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한 첫걸음이다. ② 일기에 쓸 일이 없을 때에는 ‘오늘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쓴다. ③ 신문기사를 쓰더라도 매일 노트를 펼치는 습관을 가진다. [출처 : 따듯한 CEO의 이야기(http://truefriend.byus.net/blog/index.php)] 'My Story > 成功日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